본문 바로가기
Global Economy&Stock

기준금리와 시장금리가 결정되는 원리

by Mr.Solar 2023. 1. 12.

미국 기준금리 그래프
금리 고공행진의 2022년

기준금리와 시장금리에 대해 알아보자.

금리는 동결했는데 금리가 오르는 경우가 있다.

금리는 기준금리와 시장금리로 구분이 되기 때문이다.

많이 들어본 '금리'란 단어는 쉽게 말하자면 돈의 값(price), 또는 돈의 가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그 가치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 정해진다.

금리가 결정되는 원리

많은 국민들이 힘들었던 IMF 시절을 예를 들어서 금리가 어떻게 결정됐는지 생각해보자.

대한민국은 IMF 경제위기 이전에는 국가의 성장성이 좋았고 기업들은 투자를 많이 했다.

투자가 늘어난다는 것은 대출이 상승하고 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을 의미한다.

이런 경우 고금리 시대가 펼쳐진다. (돈을 찾는 사람이 많으니 돈의 가치가 올라간다.)

1997년 외환 보유 잔고는 줄어들었고, 경기가 안좋아지고 IMF 위기도 일어났다.

대출이 과도하게 많았던 기업들은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고 도산했다.

IMF 이후에 기업들은 투자를 감소시켰다.

투자가 줄어든다는 것은 대출을 줄이고 돈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었다는 말이다.

반면에 한국 은행에서는 침체된 시장을 활성화고자 돈을 푼다.

즉, 돈에 대한 공급이 늘어난다.

이런 경우는 금리가 내려가는 '저금리 시대'가 열린다. 

정리하자면, 금리는 돈의 값이다.

그리고 돈의 값은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기준금리와 시장금리의 차이점 이해

시장금리는 시장의 원리,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이 된다.

반면 기준금리는  중앙은행이 통제하는 금리다.

기준금리에 대한 조금 더 이해해보자.

예를 들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에서 기준금리를 5%로 결정했다고 가정해보자.

시중에 돈이 넘쳐나게 되면 금리가 5% 이하로 하락하게 될 것이고,

FED에서는 기준금리에 맞추기 위해 자금을 다시 거둬들여서 공급을 줄이고 금리가 올라가도록 조절 할 것이다.

반대로 시중에 돈이 부족하면 금리는 5% 이상으로 상승하려 할 것이고,

FED에서는 자금을 풀어서 금리가 내려가도록 조절 할것이다.

위의 설명은 일반적인 경우에 대한 설명이다.

사실, 최근과 같은 저성장 고금리 시대에는 고금리 임에도 자금을 풀어서 금리를 내려가도록 하는 정책을 쓰지 못하고 있다.

금리를 낮추려다가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빠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화폐의 공신력과 구축효과의 정의

중앙은행은 초단기 국채를 담보로만 돈을 찍어낸다.

따라서 화폐의 공신력을 높일 수 있다. (기간이 짧다는 것은 위험성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으므로)

반면 시장 금리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 정해지는데,

각국 정부에서는 경기부양을 하기 위해 재정 지출을 늘렸다.

정부는 돈을 조달하기 위해 증세를 하거나 국채를 발행하여 돈을 빌려올 수 있다.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증세를 하는 건 모순이다.

시민들에게서 돈을 빼앗고 그 돈을 시민들을 위해 쓰는 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는 국채 발행을 통하여 돈을 조달한다.

시장에서 정부가 국채 발행을 통하여 돈을 쓸어간다면 시장에 돈이 줄어들고 돈을 구하기 힘들어져서 금리는 올라가게 된다.

정리해서 말하자면 '국가가 자금 수요를 크게 늘리면 금리(자금의 값)이 크게 올라간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경제 정책 결정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예시를 들어보겠다.

정부가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재정 지출을 늘리기로 했다면,

국채 발행을 증가시킬 것이고 금리의 가격을 초래하여 민간의 이자 부담을 커질 것이다.

하지만 정부가 재정 지출을 늘리는 이유는 민간 경기를 부양시키고자 하는 의도도 있다.

이런 정부의 재정 지출 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구축효과'라고 한다.

중앙은행의 목표

중앙은행의 목표를 간단히 적어보겠다.

첫 번째, 물가의 안정이다.

두 번째, 금융의 안정이다.

이를 위해 물가가 오를 때는 금리를 올리고, 물가가 내려갈 때는 금리를 내려서 금융을 안정시킨다.

그래서 미국의 FED는 매월 소비자 물가지수를 체크하며 금리의 향방에 대해 끊임없이 논의한다.

금리의 방향을 알고 싶다면, 물가지수 체크를 꾸준히 하는 습관을 들이자.

자신의 자산을 지키고 증가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