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

반도체 양대 산맥 엔비디아와 AMD 글로벌 반도체 기업 CEO에는 양대 산맥이 존재한다. 엔비디아의 CEO 젠슨 황과 AMD의 CEO는 리사 수이다. 두 사람 모두 반도체 공학 박사이며, 대만 출신의 미국인이다. 두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과거와 미래에 대해 알아보자. 리사수의 AMD와 젠슨 황의 NVIDIA AMD는 2010년도 초반 파산 위기가 있었다. 리사 수는 2014년에 암흑의 끝자락에 AMD의 구원투수로 취임했다. 리사 수의 취임 후에도 2015년도 까지는 주가가 회복의 기미를 보이지 못했다. (당시 AMD의 주가는 2달러 내외였다.) 그로부터 8년이 지난 2023년 지금 주가는 60달러를 넘겼다. 8년간 무려 30배 정도의 주가 상승이 있었다. (2021년 고점에서 반토막이 났음에도 말이다) AMD의 성장에는 인텔의 안일함도 한.. 2023. 1. 7.
미국 배당주 원하는 조건으로 찾아보기 연속적인 금리 인상과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2022년도는 성장주에 매우 힘든 한 해였다. 이런 시기일수록 꾸준하게 현금을 받을 수 있는 배당 주식이 매력적으로 느껴진다. 미국의 기업들은 주주 친화적이어서 배당금을 지급하는 기업이 다수이다. 배당 주식의 종류를 살펴보고 나에게 맞는 기업을 찾아보자. 배당주의 종류와 구분 배당주는 배당금 성장을 얼마나 이어왔냐에 따라 구분한다. 성장을 오랜 시간 이어온 배당주부터 설명해보겠다. Dividend Kings (배당 왕족 주) 50년 이상 배당금을 늘려온 기업을 말한다. 50년 배당금을 지급했을 뿐만 아니라, 배당금도 증가시켜야 한다. 총 42개의 기업이 50년 이상 배당금을 늘려와서 Dividend Kings의 자격을 얻었다. 가장 오랜 기간 배당금을 증가시켜.. 2023. 1. 2.
파이어족이 되기위한 배당주 투자 최근 파이어족이 인기다. 회사에 충성하며 승진을 쫓고, 정년까지 다니는 것을 목표로 하던 시절은 끝났다. MZ세대 중 다수가 근로소득을 벗어나 불로소득을 통한 자아실현을 하길 원한다. 그러기 위해 월급처럼 매달 돈이 들어오게 하는 방법을 생각해봤다. 현실적으로 매달 돈을 받을 수 있는 불로소득 방법은 세 가지가 있다. 첫 번째 주식을 통한 배당금 두 번째 부동산 월세 세 번째 채권이나 예금의 이자 이 중 적은 금액부터 차근차근 계획하여 실행 할 수 있는 배당금에 대해 알아보자. (나의 머니 로드를 참고하여 작성했다) 나는 한 달에 얼마가 필요할까? 사람마다 한 달간 지출하는 비용은 다르다. 자신의 소비를 6개월 또는 1년 정도 평균 내어 보면 감을 잡을 수 있다. 여기서는 통계청 자료를 근거로 하여 가늠.. 2023. 1. 1.
계속되는 금리 인상과 2023년 전망 2022년 11월 30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제롬 파월 의장은 브루킹스에서 '금리 인상의 속도를 조절할 것이며, 당장 12월부터 그럴 수 있다'라고 언급했다. 파월 의장의 말에 안전자산이 위험자산으로 이동을 예상하며 주식시장이 상승장으로 전환되길 기대했다. 그리고 사람들의 시선은 2022년 12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발표에 시선이 쏠렸다. 금리 인상으로 고통받은 2022년 2022년 12월 미국 고용통계국에서 발표한 CPI 값이 7.1%가 나오면서 기존의 예상치였던 7.3%보다 낮은 값을 보여줬다. 물가상승률이 꺾이는 추세를 보였기 때문에 주식시장은 FED가 현재의 긴축정책을 완화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생겼다. CPI 발표 이후 FOMC가 있었고, FED는 .. 2022. 12.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