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이유와 대처방법 최근 물가가 많이 오르면서 인플레이션이라는 말을 기사와 책에서 자주 접할 수 있다. 물가는 왜 오르게 되는지, 그리고 물가가 오르는 상황에서 어떠한 대처를 해야 하는지 적어보고자 한다. 보통 물가를 통계적으로 측정할 때는 전년도 대비하여 올해의 값을 판단하는 것을 중요시 한다. 이를 '기저효과'라고 한다. 아래 내용에서도 기저 효과 언급이 자주 나올 것이다. 최근 인플레이션이 발생한 이유 미국에서 물가를 측정할 때 많이 보는 항목은 크게 세 가지가 있다. 에너지, 수입 물가(import), 보복 소비(consumption)가 그것이다. 에너지와 수입 물가를 기저효과와 연관이 깊다. 물가와 관련된 위 세 가지에 해 얘기해보자. 첫 번째, 에너지 측면에서 물가 상승을 생각해보자. 2020년도 국제 유가는 폭.. 2023. 1. 21.
ESG의 기본의미와 투자의 연관성 최근 ESG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는 외침은 과거에도 있었지만, ESG는 환경 보호뿐만이 아니라 더 포괄적인 건강함을 추구한다. 전 세계적으로 ESG와 관련이 깊은 기업들에 펀드 투자들 역시 늘어나고 있고, 기업, 기관뿐만 아니라 개인 투자자들도 투자에 앞서 고민보는 항목이 됐다. ESG는 3가지 단어의 약자이다. E: Environment (환경) S: Social (사회) G: Governance (지배구조) 기업과 ESG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자. ESG의 세 가지 컨셉 이해하기 최근 가장 화젯거리인 것은 ESG 3가지 항목 중에 E(Environment)이다. 화석 연료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친환경 관련된 투자가 관심을 많이 받고 있다. 예를 들면 전기차, 태양.. 2023. 1. 15.
기준금리와 시장금리가 결정되는 원리 기준금리와 시장금리에 대해 알아보자. 금리는 동결했는데 금리가 오르는 경우가 있다. 금리는 기준금리와 시장금리로 구분이 되기 때문이다. 많이 들어본 '금리'란 단어는 쉽게 말하자면 돈의 값(price), 또는 돈의 가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그 가치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 정해진다. 금리가 결정되는 원리 많은 국민들이 힘들었던 IMF 시절을 예를 들어서 금리가 어떻게 결정됐는지 생각해보자. 대한민국은 IMF 경제위기 이전에는 국가의 성장성이 좋았고 기업들은 투자를 많이 했다. 투자가 늘어난다는 것은 대출이 상승하고 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을 의미한다. 이런 경우 고금리 시대가 펼쳐진다. (돈을 찾는 사람이 많으니 돈의 가치가 올라간다.) 1997년 외환 보유 잔고는 줄어들었고, 경기가 안좋아지고 IMF 위기.. 2023. 1. 12.
채권 금리와 채권 가격의 상관관계 이해 채권 가격과 금리의 상관관계를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채권이란 단어는 경제 뉴스에는 자주 언급되는 단어인데, 이를 이해하기 위해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아도, 그것만으로는 이해가 쉽지 않다. 채권의 금리와 채권의 가격이 서로 어떤 관계를 맺고 움직이는지 예시를 들어가며 설명해보겠다. 본인도 내용 이해에 있어 오건영 부부장님의 채권 설명 영상 도움을 많이 받았다. 채권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은 내려간다 어느 기사를 보니 이러한 문장이 있었다. '채권 금리가 올랐고 채권 가격은 내려다' 채권 금리는 채권 가격에 반비례한다는 의미로 보이는데, 금리가 오르면 가격도 오르는 것 아닌가? 정기 예금에서 이자 개념에 익숙한 보통 사람들은 쉽게 이해되지 않는다. 머릿속에 한 가지 개념을 익히면 이해가 수월해진다. '채권을.. 2023. 1. 8.